전선결선및이론

각종접속자,접속자사용방법,전선결선접속자,전선결선앤드캡,전선결선PG슬리브,전선접속자,전선연결접속자,전선연결,전선쪼인,전선접속방법,전선접속

완두콩조아 2014. 4. 3. 13:32


위의 사진은 전선을 접속할때 쓰이는 각종 접속자의 종류들입니다. 이외에도 더많은 접속자들이 있지만, 대략 저것들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1) T형접속자: 이것은 어느분이 개발하셔서 특허까지 낸것 같은데,전선의 탈피없이 접속자 안쪽에 칼날이 있어 피복에 칼집이 들어가면서 도                      체에 접속이 되는 형태입니다. 참고로 샘플을 받아서 몇개를 시험해보았는데, 칼집이 좀 약하게 나는것 같았습니다. 대신 T자형                    이나 Y자형으로 접속할때 사용하면 편리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단선보다는 연선에 적합할것으로 생각됩니다. 


2) 와이어콘넥터: 아마도 가장많이 쓰이는 접속자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제조사도 많고 종류또한 많습니다. 사진상에 보이는 와이어콘넥터들                           은 중소기업에서 만든것으로 이외에도 3M에서 생산하는 와이어콘넥터도 있습니다. 저는 주로 3M걸 많이 사용합니다. 가격                         은 좀 비싸지만 좀더 확실하게 접속이 되는듯합니다. 와이어콘넥터를 사용할때 주의할점은 일단 단선이라고 가정합니다. 연                         선은 와이어콘넥터를 사용하기에는 좀 불편한감이 있습니다. 하여 단선들에서 사용시 이미 전선은 꼬아진상태인데, 이때 와                         이어콘넥터를 씌운후 너무 무리하게 더이상 꼬우지 않기를 추천합니다. 만약 계속추가로 더 꼬우다가는 구리는 힘이 없기에                         안에서 끊어질 염려도 있기 때문입니다. 와이어콘넥터를 씌우기전 확실하게 꼬운후 와이어콘넥터는 캡을 씌워준다는 개념으                         로 사용하시고, 마무리는 절연테이프를 감아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와이어콘넥터는 전선SQ에 맞게 몇종류가 나오니 굵                         기에 맞는 와이어콘넥터를 사용하면됩니다. 하지만 대부분 4SQ까지만 사용하는게 나을듯합니다.


3) 앤드캡: 앤드캡은 집밖의 센서등이라든지 등기구안을 살펴보면 이 앤드캡으로 마무리를 해놓은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앤드캡도 직경이 몇                  가지가 있는데 자신이 결선하고자하는 전선의 굵기를 감안해서 이에 맞는 앤드캡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앤드캡은 접속할전선                  을 먼저 꼬운후 앤드캡의 접속납안으로 넣은후 압착기등으로 찝어주면됩니다. 참고로 앤드캡은 가는전선을 접속할때 주로 사용합                  니다. 그리고 단선보다는 연선에 접합합니다. 단선은 빠질수가 있습니다. 단선에 접합한것은 와이어콘넥터이겠죠.. 


4) 형광등용접속자: 주로 집의 등기구 작업시 기본으로 제공되는 결선기구 입니다. 접속자라고 하는데 사진상의 보이는것은 1구용 접속자이고                            이외에 2구용,3구용,4구용까지있습니다. 접속자는 실제 위의 접속기구들과는 달리 전선끼리 쪼인이 되는것이 아니라 양방                            향에서 전선을 밀어넣어 서로 도통되게 하는게 원리입니다. 사용하기는 편리하지만 시간이 경과되면 프라스틱이기때문                                에 접속자자체가 쉽게 부서질수도 있고,접속불량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등기구관련해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접속자                              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5) PG슬리브: 일반 슬리브가 있고 여기서는 PG슬리브입니다. 주로 가는전선의 그것도 연선결선에 주로 사용합니다. 이것도 대략3가지 형태가                    있는데 전선의 SQ에 따라 나누어집니다. 양쪽으로 연선전선을 밀어넣어 납부분을 압착기로 찝어주면 찝히면서 빠지지않고 접                      속이 되는 형태입니다. 써본결과 앤드캡보다는 좀더 타이트하게 접속이 되는것을 알수가 있었습니다. 


6)그외 가장고전적인방법으로 절연테이핑방법: 이것은 기본입니다. 위의 접속자를 사용하고 추가로 절연테이프로 감아줄수가 있는것이죠, 그                                                                 리고 접속자없이 그냥 절연테이프로 서로 결선후 감아줄수도 있습니다. 결선을 확실하게 할수                                                                 있다면 이방법도 좋은방법에 속합니다. 한마디로 이방법은 모든 전선접속에 있어서 기본이 되

                                                                는 접속방법입니다.


이상 전선의 접속방법에 대해 약간 설명을 해보았습니다. 하지만 가장중요한 것은 모든 결선에 있어서는 접촉불량이 생기기않게 확실하게 결선을 하고 마무리해야된다는 것입니다. 접촉불량은 상당히 예후가 안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