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누전·분전반

갈산동전기누전차단기불량,갈산1동전기누전차단기불량교체,갈산2동전기누전차단기불량교체,갈산동전기누전,갈산동차단기불량,갈산1동차단기불량

완두콩조아 2013. 5. 2. 21:21


메인누전차단기의 손잡이 노브가 파손되어 출동하였습니다. 출동후 메가테스터기로 절연저항측정결과 지락이나,단락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이집은 분전반내에 제3종접지가되어있네요.. 보통 옛날집들은 접지가 시공되지않아서 누전시 감전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지만 신축년도가 얼마되지 않았는지 접지시공이 되어있네요.. 보통3상4선식에서 차단기를 교체시 항상Hot상을 먼저 제거해야하며 중성선을 나중에 분리하며 교체후 재접속시에는 반대로 중성선을 먼저투입(결선)하고 나중에 하트상을 결선해야합니다. 이렇게 하지않으면 단상220을 쓰는 전기기기들에 380V가 투입되어 기기파손이 일어날수 있기때문입니다. 보통 가정집 단상2선식방식에서는 상관이 없지만 같은 방식의 작업습관을 들이는게 중요하겠죠..


메인누전차단기를 교체한상태입니다. 사실 저사진을 보면 좌측메인이 ELB이고 우측분기가 NFB인데 거의 예전에 집들은 저렇게 구성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좌측메인을 NFB로하고 우측 분기차단기들을 ELB로하면 향후 분기중에서 문제발생시 각분기차단기만 트립되기때문에 메인인 NFB는 트립되지않아 전체전기를 사용하지못하는 불편을 해소할수가 있습니다.



교체후 최종절연저항측정을 해보았는데 레인지를 DC500V 에두고 각분기차단기 OFF후 2차측 측정결과 5M옴이상의 수치가 측정되었습니다. 보통가정집의 경우 220V에서 절연저항수치는 0.2M옴이상이면되기때문에 5M옴은 양호한수치가 되겠습니다. 참고로 보통 제3종접지시공되지 않은집에서 메거링할때 메거의 어스단자를 메인차단기 1차측중성선에 물리고 하는데 이집같은 경우에는 분전반내에 제3종접지가 시공되어있어 어스를 접지단자에 물리고 측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