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좋은것들

인터폰 비디오폰 아나로그와 디지털방식차이점 경비실전화기로구분

완두콩조아 2018. 8. 5. 21:30


이번 포스팅을 통해 제목처럼 궁금해하시는분들에게 약간의 도움이 될수있도록 아파트등에서 비디오폰및 인터폰방식이 아나로그인지 디지털방식인지 그 차이점과 국내 5대인터폰제조사의 경비실전화기로 구분하는방법등에대해 간단하게 나마 소개해 볼까하고요 100이라면 60점정도되는 포스팅이라고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하지만 나름대로 신경을 썼고요  위이미지에서 제가 설명한 아나로그와 디지털방식의 구분점을 나열해놓았습니다. 적지않은 분들이 이차이점을 그냥 최근에 출시되는 제품들은 디지털이고 예전부터 출시되던 제품은 아나로그라고 알고 계시는분들도 있는데요, 확실한 구분은 하단부내용에서 말씀드리지만 경비실전화기로 거의 90% 정도를 구분해낼수있습니다 국내5대제조사의 교환대이므로 거의 인터폰의 80%이상이 이범위안으로 들어옵니다.  



위이미지가 이둘방식을 구분하는 가장 핵심적인 사항인데요 아나로그는 교환대와 세대기기가 각각 다이렉트로 직렬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이방식의 장점은 문제발생시 고장점을 찾기가 수월한데 단점으로는 공사비가 초기 많이 발생하고 주변기기들과 연동문제가 간단하지가 않습니다하여 지금은 거의 대부분 아나로그방식은 채택하지않는 편이고요 디지털방식은 아나로그방식의 반대로 초기공사비가 절감됩니다. 이방식은 경비실과 세대기기가 병렬로연결되며 단점은 고장점발생시 모두 연결되어있기때문에 찾기가 불편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주변기기와의 연동의 자유도가 좋습니다. 여기서 중간포지션에 위치한 타입이 있는데요 이것을 국선방식 혹은 직다이얼방식이라고 부릅니다. 주로 이방식은 아나로그교환대의 유지보수가 불편하여 기축상태에서 변화를 준것인데 이것을 디지털방식이라고는 하지않습니다. 하여 인터폰은 크게 아나로그방식 80년후반부터 90년중후반까지 채택한 방식이고,디지털방식 90년후반부터 지금까지 채택한방식이고 직다이얼방식은 아나로그방식에서 편의를 위해 채택한 방식이 되겠습니다. 이셋중 하나에 무조건 포함됩니다



위이미가 핵심사항인데요 해당아파트의 인터폰 비디오폰이 아나로그인지 또는 디지털인지를 구분하는 방식으로 이게 가장확실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미지의 좌측은 아나로그와 이곳에서 파생된 국선및 직다이어방식 그리고 우측은 디지털방식으로 국내 제조사중 대표5개사의 경비실전화기입니다. 이외 경동 링스 하니웰등도 있지만 제외시켰고요 위사진의 구분만으로 본인이 거주하는 장소의 인터폰방식을 구분할수가있고 그에따라 제품선택시 참고할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아나로그는 전제조사 아나로그방식과 호환이 가능하고요 국선방식은 역시 전제조사국선방식과 호환이 될수도있고 안될수도 있습니다 100%가 아닙니다. 아나로그제품을 생산하는 회사는 코콤 코맥스 삼성 현대(일부제품) 경동등이 있고 보편적인 국선방식을 생산하는 회사는 코콤 코맥스 에픽 경동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세번째로 디지털방식은 온리 자사에서 생산하는 제품만이 호환이 가능합니다. 100%타사제품은 호환이 되질않고요 그래서 어떤기종을 선택하실까 고민이라면 경비실로 달려가서 혹은 경비실이 각동마다 없는경우는 정문으로 달려가서 세대와 통화하는 전화기 또는 장치가 아래에서 설명드릴 이미지중에 하나라면 해당되는 제품을 고르시면 거의 문제가 없겠습니다.



이게 우리나라 인터폰의 효시라고 말할수 있는 아나로그 교환대입니다. 코맥스CLS교환대라고 하는데 똑딱이를 올리고 내리고하면서 세대와 연결및통화가 가능합니다. 이교환대는 코맥스가 압도적으로 많고 일부현장은 코콤교환대도 존재합니다. 그외의 교환대는 본적이 없습니다. 현재이걸사용하고 있는 현장이라면 코콤 코맥스 경동 에픽 제조사중에서 기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시면 무리가 없겠습니다. 위방식은 세대마다 똑딱이가 하나씩 있기때문에 유비보수가 불편하고 시간이 지나면 관리가 불편해집니다. 하여 아래방식으로의 업그레이드가 있었는데요



코맥스직다이얼방식이니다. 직다이어방식의 대표라고도 말할수 있겠는데요 이후의 디지털방식의 사진과 모양새는 거의 비슷하지만 제품은 틀립니다. 위사진은 직다이얼방식의 교환대가 되겠습니다. 위제품이 경비실에 있다면 코콤이나 코맥스 또는 경동제품을 주로 설치하는 편입니다 이러한 방식에서 파생된 코콤시스템도 있고 링스텔레콤시스템도 있음을 알려드리고요 



이건 일반전화기처럼 생겼는데요 맞습니다. 이곳도 아나로그방식에서 파생된 직다이어방식인데 코맥스방식과 비슷하지만 사설교환기방식으로 명명할수도 있겠네요 경비실로만 통화하는데 비해 관리실 전기실등 설정한 다양한 곳으로도 통화가 가능합니다. 이런 직디얼방식에서 일부현장에서는 1층에 로비폰을 구축하여 연동시켜 사용하는경우도 있는데요 기존 아나로그방시에서 구축하지못했던 기능들이었습니다



이제부터 디지털로 넘어가겠습니다. 첫번째는 삼성으로 1층로비폰의 유무를 떠나 경비실에 위모양의 전화기가 있다면 온리 삼성에서 생산하는 디지털방식하고만 호환이 가능합니다. 모델로는 3625나 3527등이 해당됩니다. 위전화기를 아직도 사용하는곳이 있는줄은 모르겠네요



역시 삼성디지털방식 교환대인데요 위구형교환대에서 업그레이된 제품입니다. 역시 세대기기의 선택은 오직 삼성디지털방식으로만 가능



이게 그나마 최신경비실전화기 같은데요 당연히 디지털방식입니다. 이것과 연동되는 제품은 삼성디지털제품만 가능합니다



그다음은 삼성과 그 수량에 있어 쌍벽을 이루는 현대통신 경비실교환기입니다. 이모양의 제품이 해당현장 경비실에 있다면 두말할것없이 현대통신 제품중 디지털방식의 제품으로 연동이 가능합니다. 가장 보편적인 모델은 D70A나 R1041모델제품입니다 현대거는 경비실교환기가 대부분 위사진의 모델로 존재합니다.



다음은 코맥스인데요 위에 직다이얼방식에서 이미지와 여기의 이미지가흡사한데 모양만 같을뿐 내용은 틀립니다. 모델명은 전화기의 밑부분에 있는데 그것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디지털방식이라면 CDS-480L 혹은 CDS-481L 그리고 직다이얼방식이라면 CDS-800C이며 여기서 480L은 480타입코맥스제품으로만 481L이라면 481타입코맥스제품으로만 세대기기와 호환이 가능합니다. 코맥스는 예전에는 주로 주공아파트에 많이 설치되어있었고 최근에는 빌라나 오피스텔등에 주로 설치되는거 같습니다. 



그 다음은 코콤인데요 디지털방식이라고 하기는 좀 구형인 코콤4선버스방식의 경비실교환기입니다. 모델명은 AM10-KP라는 기종으로 어쨓든 교환기와 세대기기와 병렬로 연결되어있습니다. 당연이 코콤의 AM-10KP호환 디지털방식의 제품만이 호환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B374, AM-10KP가 있는 현장은 거의 99% 는 1층현관에 로비폰은없습니다.



코콤의 또다른 디지털방식교환기입니다. AM-10KP후속이라고 봐도 될듯하고요 신형경비실기기가 이미 출시되었는데  아직까지는 위모델타입들이 많이 현역으로 남아있고요 다른 디지털방식의 제품처럼 8선방식으로 세대기기와 연결되고 있으며 당연히 코콤의 8선병렬방식제품으로만 호환이 가능합니다. 위기기가 설치된 현장은 90%이상이 1층로비폰이 있는 경우입니다. 




마지막으로 한창제품인데요 한창하면 대우제품하고 연관이 깊습니다 위교환기는 디지털방식으로 사용하는 한창제품이며 이때는 당연히 한창시스템사의 세대기기와 호환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한창 대우에서도 90년중반정도에 아나로그방식의 제품들을 생산했으며 그것은 위에서 언급드린것처럼 모든제조사의 아나로그제품과 연동이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인터폰에서 아나로그와 디지탈방식의 차이점및 구분방법을 60점정도의 지식으로 알아보았는데요 핵심은 경비실교환기로 구분하는게 가장정확하다는 말씀드리며 그에맞게 제품선택이 되면 문제는없을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