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스위치ON/OFF시 전압이 다르게나타나는이유
스위치에서 스위치공통과 스위치선을 모두 분리한경우에 그상태에서 둘을 쇼트시켜보면 불이 켜진다. 또한 그상태에서 스위치공통선과 스위치선의 전압을 측정하면 220V가 측정된다. 아니 !! 왜??? 스위치공통선은 핫상이고,스위치선또한 핫상에서 이어진선인데, 왜 220V가 측정되는것일까?? 의문을 가질수가 있다. 그것은 스위치공통선은 오리지날 핫상이고,스위치선은 등공통(중성선)에서 부하를 거쳐 스위치선까지 돌아오는중성선이기때문에 220V가 측정되는것이다. 사진처럼 등공통중성선 E는 부하전단D를지나 부하후단 C를 거쳐 스위치선B까지 중성선형태로 오기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220V가 측정된다. 즉 핫상과 중성선사이에 부하가 있고,전위차에의해 220V가 나오는것이다. 그러므로 스위치에서 스위치공통선과 스위치선을 모두 분리했을때 220V가 측정된다고 해서 혹시 이거 붙이면 합선되어 차단기 내려가는거 아니야??? 라고 걱정할필요가 없이 둘을 쇼트시키면 불이 들어오게된다. 이것은 자연스러운현상이다. 하지만!!!! 혹시 스위치박스안에 부하를 거쳐돌아오는 중성선이 아닌 오리지날 콘센트중성선이 같이 있다면 쇼트시키면 합선이 된다.
자!! 그럼 이렇게 스위치를 on했을 경우는 어떻게 되는것일까??? 이때는 스위치공통핫상이 스위치선과 붙어 부하후단 C까지는 전압이 0V가 나온다. 즉 스위치공통부터 부하후단 C까지는 같은 핫상이라 전위치가 없어 0V가 나오는것이다. 하지만 부하전단 E,D는 중성선부분이므로 220V가측정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기존의 매입콘센트에서 노출방식으로 콘센트를 하나 추가한다고 한다면 그 노출방식이라도 2가지방식이있다. 하나는 노출콘센트박스위에 매입형콘센트를올려 사용하는방식과(솔직히 이방식은 결국 매입형콘센트와같은방식이라고보면된다) 오리지날 노출형 사진처럼 저런 노출형콘센트를 사용하여 추가하는방법이 있다. VCTF로 앞단은 플러그로(반드시기역자형플러그사용)후단은 노출형콘센트에 전선을 감아 나사를쪼여만들어주고,만약 환경이 안좋다면 TFR-CV선을 이용하여 콘센트를 만들어준다. 결론은 실내에서 단HIV단선이 아닌 케이블류를 선택할때 원칙상 TFR-CV를 사용해야하지만 이전선은 가요성이 안좋기때문에 결국 선택할수있는전선은 VCTF2.5SQ밖에 없다. 이전선을 이용해 위사진처럼 한쪽은 플러그 한쪽은 노출콘센트로만들어준다. 노출을사용하지만 이전매입콘센트에서는 복스안에서 쪼인하여 리드선을따고,반대쪽에서는 노출콘센트박스위에 매입형콘센트를 올려 그 단자에 꽂음식으로 HIV선을 꼽아준다. 즉 이두경우밖에 없다. 전선이 연선형태(VCTF,TFR-CV)이면 앞단플러그,뒷단 노출형콘센트사용이지만,전선이 단선형태(HFIX)라면 앞단은 매입콘센트복스안에서쪼인,후단은 노출형매입콘센트를 설치하는것이다. 키포인트는 플러그를만들때 일자형말고,기역자형 두남회사꺼를 사용한다.
위의 방법을 1안으로사용하고 전선은 VCTF 앞단은 두남 기역자플러그사용,후단은 그냥노출콘센트사용
위의 방법을 2안으로사용하고(환경이 열악한곳) 전선은 TFR-CV 앞단은 두남 기역자플러그사용,후단은 그냥노출콘센트사용
단선에 있어서 매입식이라면 위의 방법을 1안으로사용하고 전선은 HFIX 앞단은 기존콘센트복스안에서 쪼인 후단은 노출형매입콘센트복스안에서 단자꽂음형식으로 되도록 이방법을 사용한다. 말단이라서 플러그 방식으로 해주었는데,다른사람이 그말단에 도 콘센트를 증설하면 위험하지때문이다. 플러그식은 진짜 최말단에 더이상 이곳에서는 증설을 할수 없는 곳에서만 플러그식 위의 VCTF방식으로 해준다.
단선에 있어서 앞단은 콘센트복스안에서 쪼인하고 후단은 이전사진처럼 노출형매입콘센트안에서 단자꽂음식으로 사용해야하나 위의 노출형콘센트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2.5SQ를 넘으면안된다. 2.5SQ까지만 나사쪼임이 그나마 원활하고 4SQ부터는 나사가 충분히 쪼여지지 않기때문에 2.5SQ이상까지만 사용하고 4SQ이상은 노출형매입콘센트에 단자꽂음형식을 사용한다. 사실 이경우도 그리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위의 4가지 사진중에서 노출형식은 위의 4가지사진중에서 1,2번방법을 사용하고 노출매입단선식이라면 3번째방법을 사용하길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