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익동신동아7차아파트인터폰설치,문학동인터폰디지털도어록,청학동인터폰비디오폰,주안쌍용아파트인터폰도어록,신기촌비디오폰,문학동인터폰도어록
인천남구학익동 아마도 주안동하고 경계부근같은데 신동아아파트들이 모여있는곳입니다. 그중에서도 신동아7차 아파트로 인터폰을 설치하러 갔습니다. 이곳은 공동현관로비폰은 없고 경비실이 아나로그식이었습니다.
기존에 달려있던 97년제조한 삼성의 인터폰카메라입니다. 4선방식을 채택한제품입니다.
주화면 모니터는 역시 삼성제품으로 이제품은 본체가 AC전원을 다이렉트로 받지를 않고 SMPS를 이용하여 DC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DC24V를 주전원으로 사용하는제품입니다. 이제는 떼어버려야겠죠..
카메라를 떼어보니 4선이 들어있었고, 복스크기도 310제품의 카메라크기와같아 별도로 마감판을 댈필요가 없으니 깔끔한 설치가 되겠네요..
카메라 설치를 완료했고요,각도를 조금 높이기 위해 동봉된 프라스틱프레임을 장착했습니다.
모니터를 장착하기위해 선들을 구분한다음 혹시 전원이 제대로 인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전압을 측정해봅니다. 제대로 220V가 인가되었구요, 참고로 기존에 감겨져있던 전선쪼인부의 절연테이프를 떼어내기란 쉽지가 않습니다. 하여 그냥 니퍼등으로 선을 자르는것이 오히려 나은데, 이때 전선을 잘구분하여 한가닥씩 잘라주어야합니다. 혹 실수로 두가닥을 동시에 자를경우 단락상태(쇼트)가 되어 순간적으로 무한대의 전류가(펑소리와함께) 흐르면서 그로인해 차단기가 작동됩니다. 그리고 만약 차단기가 오래되었을경우 순간적인 단락전류로 인해서 차단기가 터져버릴수도 있습니다. 또하나 순간적인 고열로인해 니퍼의 자르는부위가 녹아내리기도합니다. 항상한선씩 잘라야합니다.
기본적인 전선을 정리합니다. 전원선과 경비실통화선,현관카메라선 아나로그형식의 비이오폰은 이렇게 3가지만 준비되면됩니다.
브라켓을 장착하고 기본적인 선들만을 인출해냅니다. 사진상에는 원이 타공되어있고, 저브라켓에 몸체를 장착하면되지만 일부제품들은 몸체의 뒷부분에 사각돌기가 있어 저구멍을 넓혀야 장착이 되는경우도 있습니다. 하여 장착시 설치조건에 따라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나로그 흑백으로 수화기방식이며 기본기능에 충실한 코콤사의 KVM-310입니다.
추가로 도어클로저설치입니다. 대부분의 도어클로저는 미는문쪽에 설치하며 시공기준에 맞게 설치되어야합니다. 시공기준이라는것은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도면치수에의해 되도록 정확한 위치를 말하며, 그렇게 설치하여야 문제가 없습니다. 또한 문을 닫았을경우 위사진처럼 문짝면에 도어클로저의 메인암이 5도정도 벌어져있는것이 가장좋은상태가 됩니다. 만약 5도를 넘어서 30-45도정도로 벌어져설치가된다면 문을 닫을때 끝까지 당겨주는 유압의 힘이 부족하여 문이 끝까지 안잠길수도 있기때문입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디지털도어록과 비디오폰의 무선연동을 설명한 그림입니다. 대다수의 비디오폰과 게이트맨디지털도어록을 설치하면 무선으로(비용추가) 비디오폰에서 디지털도어록을 열어줄수가 있습니다. 한마디로 비디오폰으로 방분자확인후 비디오폰문열림버튼으로 현관까지 가지않고도 문을 열어주는 기능입니다. 참고로 비디오폰은 많은기종이 호환가능하나 디지털도어록은 게이트맨,삼성제품이 가능하고 그중에서도 게이트맨이 호환성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