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HT-3615PT인터폰,부개동인터폰,만수동인터폰,산곡동인터폰,청천동인터폰,삼산동인터폰,갈산동인터폰,부평동인터폰,계산동인터폰,작전동인터폰
부개동소재의 아파트입니다. 비디오폰설치의뢰가 들어왔습니다. 해당 아파트가 디지털식인지,아나로그식인지 정확히 확인이 어려워 2가지제품을 모두 가지고 도착했습니다.
대략 80%가 디지털식이지 아닐까? 하고 예상을 했었는데, 예상은 빗나갔고, 경비실에는 코맥스사의 아나로그경비실교환기가 설치되어있었습니다. 하여 해당세대에는 아나로그제품인 SHT-3615PT를 설치해야합니다. 가지고간 3625PM은 사용할수가 없겠죠..
지금까지 잘 사용해오신 삼성 구형 홈오토 SHT-101C입니다. 해당제품은 2가지타입으로 출시되었는데 만약 공동현관이 있고,없을경우 경비실교환기가 삼성디지털교환기라면 삼성 디지털도어폰인 SHT-3625PM을 설치해야합니다. 하지만 이 아파트에는 아나로그를 설치해야합니다. 나중에 들은 얘기로는 디지털식으로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고 하시는데 그비용이 억단위라고 합니다. 쉬운일은 아니겠죠..
역시 원래 달려있는 카메라입니다. 4선을 사용하는 유극성방식입니다. 실내 모니터를 떼어보았습니다. 101C의 터미널보드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가 들어있습니다. 지금출시되는 제품은 교류AC전용이기때문에 사진상의 SMPS는 필요하지가 않습니다. 해당제품은 아나로그용이기때문에 현관과 경비실만 연결되면 됩니다만, 만약 디지털인경우에는 데이타,채널1,2,3,로비등 더 많은 결선이 필요하게됩니다. 그것은 버스방식이기때문입니다.
사진상에 AC전원선이 보입니다. 제품에는 접지선이 별도로 없기때문에 접지연결은 하지않습니다. 결선전에는 항상 정상전압이 인가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사진상의 저전선 IV전선이라고 합니다. 굵기는 2mm인데 요즘규격 신전선 HFIX의 규격으로는 2.5SQ보다는 굵고 4SQ 보다는 약간 가늘은 전선입니다. 보통 적색은 핫상전원선으로 사용하는데 사진상에는 백색이 핫상전원으로 사용했네요..그래도 접지선은 녹색을 사용했습니다. 최소한 접지선은 녹색으로 사용해야겠습니다. 참고로 저녹색선은 정확히 접지선은 아닙니다. 접지선은 GV라고 피복이 더 굵은전선인데,그냥 옥내에서는 HFIX2.5SQ전선으로 대체할수도 있습니다. 만약 옥외에사용하는 접지선이라면 GV선을 사용해야합니다.
카메라복스에서 4선을 구분하고요,육안상으로확인도 가능하겠지만 실내부와 DC9V밧데리를 이용하여 확실히 구분할필요가 있습니다.
앤드캡으로 결선을 하고 절연테이프로 혹 시간이 지나면 앤드캡이 벗겨질우려를 막고자 추가로 감아줍니다. 앤드캡도 너무큰걸사용하면 헐렁하니까 2파이 짜리가 가장무난한것 같습니다.
카메라설치를 완료했고요, 제조사측에 조금 아쉬운게 있다면 카메라를 고정하는 부품을 십자볼트대신 육각볼트를 제공했다면 육각렌치도 제공해야하는게 기본인것 같은데, 배려심이 약간 부족하네요..담당자 누구야!!
실내에도 결선이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참고로 AC전원선은 접속자를 쓰는대신 직결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간혹보면 접속자를 이용하는경우도 있는데,그냥 직결해주는것이 향후 접촉불량등등에서 안전할수가 있기때문입니다.
마감판을 장착하기위해 테두리부분 4군데 다보를 고정하기위한 작업을 합니다. 원래기본으로 제공되는 삼성보급형마감판이 있습니다. 원래 대부분의 경우에는 시간도 절감되고 그것을 사용합니다만 위의 경우에는 철판부분이 안쪽으로 푹들어가있는상태이기때문에 붕떠서 삼성마감철판을 고정하기가 애매합니다. 하여 아크릴마감판을 사용하려고합니다.
마감판을 부착후 브라켓을 고정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마감판은 별도로 준비한 은색펄아크릴마감판입니다. 보통 두께가 3mm,5mm가 있는데 좀더 견고하고 고강도를 위해서 5mm아크릴을 사용합니다. 3T와 5T는 확실한 두께의 차이가 있습니다. 펄아크릴색상도 화이트,블랙등 더 있지만 실버가 가장 고급스러워 보이는 편입니다. 참고로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대부분은 삼성보급형마감판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마감판설치의 애로사항이 있는경우에만 아크릴마감판을 사용합니다. 아크릴마감판작업은 더 시간이 걸리고 더 조심스러운작업을 해야하며,비용도 더 고가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