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에는 허용전류라는게 있습니다. 즉 그전선에 최대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말하는데 이게 전선이 굵을수록 허용전류는 당연히 높아집니다.그리고 매입공사,노출공사에 따라 그허용전류값이 차이가 있습니다. 전선에 전기가 흐르면 열이발생하는데 이것이 매입된전선관안에 있으면 열방산이 어렵기때문에 더욱 열이날것이고,반대로 노출공사시에는 벽속에 전선이 있는게 아니기때문에 그만큼 열방산이 쉬어 전선에 열이 덜발생하게됩니다. 위의 사진은 콘크리트매입박스 전선관안에 전선이 두가닥이 있는상태인데,두가닥이기때문에 2본이라고하고,단상이기때문에 단상2본이라고합니다. 그리고 저두가닥은 핫상,중성선이라고하면 1셋트 즉 1회로이기때문에 1회로라고합니다. 만약 저 하나의관속에 4가닥의 전선이 들어가 있다면(핫상2개,중성선2개<--중성선은큰의미없음) 2회로라고합니다. 1회로와 2회로의 차이점은 1회로보다 2회로의 전선들이 더욱 열이많이 나는게 정상이겠죠,하여 1회로보다 2회로안의 전선이 그만큼허용전류도 낮게되는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1회로이냐? 2회로이냐? 3회로이냐에따라 허용전류를 각각 다르게 계산해주어야 된다는 말씀입니다. 사실 일반가정의 매입박스전선관안에 2가닥이상을 넣는경우는 드물지만 ,그래도 정확한 전선의 허용전류값을 아는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위의 데이타는(HIV전선 지금은 HFIX전선을 사용합니다) HIV전선의 매입,노출공사시의 허용전류표입니다. 여기에서 설명할것은 노출은 빼고 매입공사시의 하용전류값만 설명해보기로 하겠습니다. 일단매입공사란 표의 그림에서보는것처럼 단열벽속에 박스를 심고 그안에 전선관을 배치하여 그안에 전선을 넣는 공사를 말합니다. 이때 저데이타에 근거해서 허용전류값을 알아보면,2.5SQ를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2.5SQ의 1회로 매입공사시(전선관안에 전선이 2가닥만있는것을 말합니다)이 전선의 허용전류는 위표에서도 알수있는것처럼 26A입니다. 즉 26A까지는 안전하게 전기를 흘릴수있다라는 말입니다. 이때 기본적으로 도체온도는 90도,외부온도는30도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2회로시 2회로는 위에서 설명한것처럼 한전선관안에 전선이 4가닥이 있는것을말합니다(핫상2가닥포함)이때의 허용전류는 그냥 26A가 아니고 26A에 회로수보정계수 0.8을 곱해주어야합니다. 하여 26A X 0.8=20.8A 가 허용전류가됩니다. 같은 2.5SQ이지만 회로수에따라 보정계수를 적용하니 하나는 20.8A 하나는 26A가 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HIV2.5SQ가 무조건 허용전류가 26A가 아니라는것이되겠죠,한번더해보면 3회로의 경우에는 최초 26A X 0.7=18.2A가 나오게되됩니다. 이상 HIV전선의 허용전류표와 회로수증가에따른 보정계수를 적용하는것에 대해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