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인천시 남동구 만수동에 소재한 담방마을아파트입니다. 년식이 꽤 된 아파트이기때문에 속으로 인터폰복스안에 220V전원선이 들어있을까?? 하고 의구심을 품고 출발하였는데요, 대부분 오래된 주공아파트나,시영아파트일경우 실내 인터폰복스안에 DC전원외에 실제 비디오폰에 필요한 220V AC전원이 안들어 있는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현관 초인종에서 실내인터폰복스안으로 4선이 입선되지 않은경우도 많다고 보시면됩니다. 참고로 이러한 조건하에서 신규로 비디오폰을 설치할경우 기존비용에서 추기비용이 발생합니다. 솔직히 이건 일반적인 상황에서 비디오폰을 설치하는경우의 배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중요한것은 전기선 노출작업이기때문에 최대한 안전하게 탈없이 작업을 하기위해 배이상의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가장중요한 220V 전원선 작업을 대충했다가는 나중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기때문입니다. 이런 작업은 어려운공사라기보다는 손이많이가는 작업이라고 보시면됩니다. 하여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것입니다.
역시나 도착하여 확인해 보니 기존세대현관 초인종복스안에 인터폰선이 2선밖에 없었습니다. 물론 2선식을 설치할수도 있지만 그래도 요비선을이용하여 실내 인터폰복스안으로 찔러넣기 시도를 하였습니다. 제가 이런작업을 해놓으면 향후 세월이 흘러 인터폰을 교체시에는 다음 작업자가 좀더 수월할수가 있겠죠..
그러나 그것보다 더 문제는 기존 실내 인터폰복스안에 AC 220V 전원선이 들어있지 않았습니다. 주위를 둘러보았지만 최단거리 인접콘센트는 거실의 TV벽 콘센트였습니다. 하여 그곳에서 이곳 인터폰복스안으로 선을 끌어와야 할것입니다. 이런경우 인테리어 전이라면 즉 도배전이라면 벽에 월체이서로 폭10mm의 홈을파서 그안에 전선을 매입한후 향후 도배를 하면 좀더 보기좋게 작업을 할수도 있습니다.
인접한콘센트입니다. 이곳에서 인터폰복스까지 절연전선인 HFIX 2.5SQ 2가닥을 끌어갈것입니다. 옥내에서 허용되는 전선은 원래 케이블이나,절연전선입니다. 여기서 케이블이란 VCT나 TFR-CV등의 전선을 말합니다. 장원선(VCTFK),비닐코드(VCTF),로맥스등은 케이블이 아닙니다. 그러한 전선은 되도록 옥내에서 사용하면 안되는 전선들입니다. 하여 두꺼운 케이블을 사용할수가 없어 옥내용절연전선인 HFIX 2.5SQ두가닥을사요하기로 했습니다.
진짜 이런 전원선 노출작업은 짜증도 나며 시간도 많이 가는 작업입니다. 이러한 작업을 대충할수가 없습니다. 전원선이 외부에 노출되는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안전하게 작업하기위해서는 꼼꼼하게 작업을 할수밖에 없으며 그런이유로 시간이 많이 지체됩니다. 90도로 꺽이는 몰딩부분 또한 전선노출을 최소화 하기위해 45도도 자른후 이어주어야합니다. 일단 정원가위로 자르면 몰딩이 쉽게 깨집니다. 하여 충전컷쏘를 이용하여 세밀하게 잘라주어야합니다.그리고 몰딩뒷면이 접착부가 있다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떨어질수가 있기때문에 붙인부위가 나무부분이라면 전기타카로 쏴주고,콘크리트부분이라면 칼블럭을 두세개정도 박아주어 안쩔어지게하는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시간은 더욱 지체됩니다. 그렇다고 전기선작업을 대충할수있는것은 절대아닙니다.
기존 실내 전원선이 원래부터 없던 인터폰복스안으로 전원선2가닥을 넣었습니다.그리고 현관초인종복스에서 이곳으로 인터폰선4선또한 새로 입선하여 비디오폰을 설치할 조건이 마련되었습니다.
비디오폰쪽은 먼저 결선을 완료했고 반대쪽인 이곳 콘센트에서 전원선을 연결해주면됩니다. 몰딩이 끝나는 부위에서 콘센트복스안으로 들어가는 부위에 전선손상을 방지하기위해 작은직경의 난연콜게이트튜브를 씌워서 넣어줍니다. 마음같아선 로타리햄머드릴로 복스하단부위를 까내어전선을 뭍어서 넣고 싶었지만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콘크리트가 약해 다른부위까지 뜯어질 우려를 생각해서 그렇게 하지는 못했습니다.
이제 비디오폰을 장착하였습니다. 코콤의 4.3인치형 칼라비디오폰입니다. 4.3인치형 비디오폰들중에서는 가장 무난한 모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나름 화질도 또렷하고 괜찮은 제품입니다.
참고로 이곳 담방마을아파트의 경비실을 방문해보았는데요, 아나로그식이었는데, 이곳 경비실시스템이 완전먹통이라서 경비실통화는 불가능하다고 먼저 말씀을 하십니다. 이걸 새로 복구하는데는 큰비용이 들기도 하니 그냥 경비실연결은 거의 안되는 실정이라고 보시면됩니다. 하여 세대현관 화상식별및 방문자와 음성통화도 가능합니다. 또한 도어락이 무선연동을 지원한다면 무선으로 도어락과 연결하여 설치한 비디오폰상에서 도어락을 열어줄수도 있습니다.
세대현관 카메라도 기존 단순음성지원 자기에서 화상으로 식별및 통화가 가능한 카메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마치면서 이곳 담방마을아파트 뿐만 아니라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아파트일경우에는 포스팅서두에서 말씀드린것처럼 별도의 비용이 발생됨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