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부천 원미구 상동의 다정한마을 뜨란채아파트인데요,이곳에서 구형 코콤 KVM-932제품을 대체가능한 비디오폰제품군중에서 중앙집중방식의 코콤 KCV-C374 제품으로 설치를 진행하였습니다. 코콤의 인터폰라인업이 독특한 편인데요,기본적으로 아나로그방식이 있고,기축아파트에 적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것은 코맥스제품으로 보면 800시스템과같은 방식이구요,또 빌라등에 적용되는 복합방식이 있는데요,이것도 코맥스로 비교해보자면 게이트뷰시스템과 목적이 비슷합니다. 그리고 일종의 1세대 아파트 버스방식인 4선버스방식이 있는데 주로 공동현관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도 코맥스와 비교하자면 코맥스 480시스템과 같은급이라고 볼수있구요, 이번에 설치된 제품은 역시 아파트등에서 설치되는 방식인 중앙집중방식의 비디오폰입니다. 억지로 비교하자면 코맥스의 481시스템등의 2세대 아파트형 버스방식이라고 제가 주관적으로 명명하였습니다. 하여 이번 뜨란채의 경우 중앙집중방식의 제품군중에서도 홈오토와 인터폰,비디오폰등 몇가지제품들이 있는데,그중 비디오폰제품군중에서 7인치 핸즈프리방식의 KCV-C374제품을 사용하였습니다.
이곳 다정한마을 상동뜨란채아파트의 1층 공동현관에 설치된 코콤의 로비폰입니다. 처음엔 이보다 더 구형이었을것이었는데,이제품으러 한번 바뀐듯합니다. 아마도 모델명은 KLP-305R2쯤 되어보이네요,그런데 로비폰을 너무 낮게 달아놔서 세대에서 방문자의 얼굴이 보이는게 아니라 가슴도 아닌 배부분만 보이더군요, 애들 눈높이에 맞추지말고 성인기준으로 설치하고,로비폰아래에 발판을 두면 되었을것을 미스테이크!
세대를 방문했을때 달려있던 코콤 중앙집중방식 비디오폰 구형 KVM-932입니다. 930,931 도 있는데 그것들은 4선버스방식의 비디오폰들이고,이것은 생김새는 비슷하나 틀립니다. 참고로 932보다 신형의 이전모델들중에 홈오토인 KHV-444,446등이 있는데 이런것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KCV-358등을 설치하여도 좋은 선택입니다. 그리고 위와같은 비디오폰제품군이 설치되어 있는경우에는 KCV-C434나 KCV-C374도 좋은 선택이 될수 있습니다.
이제품의 특성상 복잡한 배선이 있기때문에 세밀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제설치할 제품은 거치형이다보니 마감판도 필요하겠네요!
설치를 완료했구요,설치한 이제품은 원미구 상동의 다정한마을 뜨란채아파트에 호환가능한 코콤의 중앙집중방식의 7인치 칼라핸즈프리비디오폰입니다. 인접한 다정한 마을 KCC에도 호환가능하구요, 기존 뻥뚫린 인터폰박스공간도 준비해간 적당사이즈마감판으로 막아드렸습니다.
참고로 위의 사진은 역시 다정한마을뜨란채아파트에 호환가능한 또다른 제품으로 화면크기는 다소작지만 또렷한 화질을 자랑하는 KCV-C434라는 모델입니다. 이제품도 좋은 선택일수 있습니다. 위사진처럼 세대현관복도에 햇빛이 들어오는곳이면 정말 선명한 화질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KCV-C374나KCV-C434나 비디오폰제품군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한 제품입니다. 세대현관통화가능,1층현관방문자확인,통화,문열림이 가능하고,경비실과도 통화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호환모델중에서 모델명이 비슷한것들이 몇가지가 있어 혼동을 없애기 위해 설명드리면 일단 4.3인치이건 7인치이건 모델명에 알파벳C가 붙어야만 호환이 가능합니다. 434가아닌 C434이어야하고 B374가 아닌 C374이어야합니다. 제가생각하기에 C는 센트럴의 약자로 중앙집중방식을 의미하는것 같습니다.
세대현관이 비교적 어두운곳이라서 사진이 또렷하지가 않네요,어찌되었던 카메라도 기존 흑백에서 칼라방식으로 같이 교체진행완료!
요즘보니까 도어락중에서 블루투스기능으로 스마트폰에서 도어락을 오픈하는 제품들이 나오더군요,제가 알기로는 게이트맨의 푸시풀인 A300-FH나 삼성푸시풀의 이번에 새로나온 P920제품들이 그런기능이 있는듯합니다. 위에 설명해놓은 기능은 인터폰상에서 무선연동을 의미합니다. 인터폰과 도어락을 무선RX/TX라는 제품으로 묶어버리면 인터폰상에서 원터치로 도어락이 열리게되는 기능입니다. 아쉬운점은 기본기능은 아니고 부가기능이라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