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폰·비디오폰

경동비디오폰/부천 원미구 상동 라일락마을 서해그랑블아파트 아남 구형인터폰을 대체하는 유일한모델 경동 나비엔 UHA-734HK-AN 교체

완두콩조아 2016. 5. 18. 15:49


오랜만에 부춴 원미구 상동에 소재한 라일락마을을 다녀왔습니다. 라일락마을 동양덱스빌,경남아너스빌,신성미소지움은 몇번 가보았으나 라일락마을 서해그랑블아파트는 처음 방문을 하게되었네요,하지만 뭐 비슷하겠죠? 이곳에서 기존 아남전자의 구형인터폰인 AM-414G가 달려있었고 이것을 대체하는 유일한 호환모델인 경동나비엔 UHA-734HK-AN으로 교체를 하였습니다. 주의할점은 비슷하 모델인 UHA-734HK라는 모델도 있는데 이것과는 하늘과땅차이가 있기때문에 호환되지 않습니다. 끝부분 AN을 확인하셔야합니다.  



1층현관 입구가 보이네요,아주 개끗히 청소를 하시고 계십니다. 얼릉올라가서 설치를 하여야겠네요! 룰루라라~~



들어가기전 찰칵! 위로비폰은 아남전자에서 만든제품으로 현재 아남이라는 회사는 존재하지만 비디오폰제품군은 더이상 만들어내지 않고 있는듯합니다. 해당사업을 접은것 같구요,하여 이 로비폰도 경동에서 나오는 호환칼라제품으로 교체도 가능합니다. 현재는 흑백로비폰이라서 경동제품의 비디오폰을 교체해도 1층 영상은 흑백으로 출력됩니다. 



처음 이걸 보았을때 살짝~ 불안한 마음이... 과연 저안에 있는 필요한 배선들을 충분히 길게 빼낼수가 있을까? 밀려오는 공포속에 손을 쓱~넣어서 빼보았는데요,다행히도 대부분 선작업하는데 불편함없을정도고 선들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전원선은 좀 아쉽더군요!! 참고로 기존에 달려있는제품은 이미 떼어버렸지만 위사진 우측상단의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AM-414G가 달려있었죠!



원래 전원선결선은 직결을 하는데,이번 제품은 동봉된 콘넥터를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다이렉트로 제품간에 직결을 하다보면 나중에 AS할때 불편할것 같아 콘넥터를 사용하여 전원선을 연결하였습니다. 사실 이제는 경동제품은 이 아남호환제품만 취급하고 있습니다. 



일단 매달아놓고 경비실과 1층현관을 테스트하였습니다. 1층영상동축선의 전압을 찍어보면 왜? 쉴드가 +로 나오는지 궁금하군요? 참고로 이제품은 디지털방식이지만 1층로비폰영상은 아나로그타입입니다. 동축을 사용하였으니까요! 동축의 쉴드가 속심+를 싸고 있는 구조를 보통 아나로그 불평형통신이라고 합니다.  



설치를 완료하였습니다. 조금 애를 먹었는데요,좀 제대로 만들었으면 얼마나 좋을까하고 속으로 생각을 하였습니다. 어떤부분이냐하면 브라켓을 고정후 제품을 걸려고 하니까,도통 제품이 걸리지가 않습니다. 홈을 좀넓게 하거나 혹은 브라켓의 돌기부분을 길게하거나 해야하는데,그렇지 않다보니 잘 빠질려고 하네요, 설치자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설치한 이모델은 경동나비엔 UHA-734HK-AN이라는 제품으로 기존 아남전자 일부모델을 대체할 유일한 모델입니다. 뭐 선택을 하고 자시고가 없습니다. 그냥 주는데로 받아 먹어야합니다. 다른 대안도 없으며 그냥 유일무이한 대체품입니다. 어찌되었건 이제품은 이곳 원미구 상동 라일락마을 서해그랑블아파트에 양호하게호환됩니다.



기능은 뭐 대단하지는 않고요,세대현관 방문자와 인사하며 통화하기가 가능하고,1층 공동현관방문자와 다정하게 통화도 가능하며,빨라올라오라고 문도 열어줄수가 있습니다. 물론 경비실아저씨께 수고하신다고 통화도 가능합니다. 



나비엔제품이구요,그렇다고 보일러만드는 곳에서 같이 만들지는않고 구분되어있는듯합니다 그외 아나로그제품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아남구형 현관카메라이네요,흑백카메라인데요,이제 이걸떼어내고 경동칼라카메라로 교체를 하여야겠죠!



카메라도 이렇게 교체를 완료하였습니다. 이 카메라부분은 나름 마음에 드네요, 뭐 그럭저럭 설치자입장을 고려하여 제조한것 같습니다. 아니면 그냥 만들었는데,양호한 설치가 되는 그런제품일까요?



그래도 경동 이제품 UHA-734HK-AN은 무선도어락접점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하여 조건만 만족한다면 인터폰과 도어락을 무선으로 묶을수가 있습니다. 그조건은 두가지인데,신형급의 메이저급 도어락으로 교체되어야하고,두번째는 위이미지처럼 세트인 무선TX/RX라는 부품이 송수신기기간 부착되어있어야합니다. 그냥 무선연동되게 만들수는 있겠지만 아직까지 그러한 제품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