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폰·비디오폰

산곡동한화아파트비디오폰,산곡동한화아파트디지털식비디오폰,산곡동한화아파트경비실연동비디오폰,산곡동한화아파트비디오폰설치,산곡동비디오폰설치

완두콩조아 2013. 8. 3. 16:04


인천산곡동 소재한화아파트의 비디오폰설치입니다. 공동현관 로비폰은 없지만 경비실에 있는 경비폰이 코콤디지털식이기 때문에 시중의 아나로그비디오폰을 구입하시면 경비실과 통화는 할수없고 단순히 현관카메라기능만을 사용해야합니다. 그러므로 경비실이 디지털식 호출식이라면 같은 디지털방식의 비디오폰을 구입해야합니다. 또한 같은 회사라도 100%호환이 되는것이 아니기때문에 경비실폰 모델명과 호환되는 같은회사 비디오폰으로 설치를 해야합니다. 기존의 세대안의 비디오폰복스안을 살펴보면 대게 아파트는 선이 아주 복잡하게 나와있습니다. 이중에서 대략적으로 필요한선을 총 10가닥으로 비디오폰모기전원선220V 2선과 현관카메라와 통신하는 유극성4선등입니다 복스안에서 이 10가닥을 테스터기를 이용해어 찾아야만합니다.  



현관카메라와의 4선은 비교적 찾기가 쉬우며 삑삑이가 있다면 연장선을 이용해 서로 연결하여 선을 찾습니다. 



실제불필요한 선을 복스안으로 다 집어넣고 남은 선이 10가닥이며 특히 전원선 IV전선은 연결에 주의하셔야합니다.(감전주의)



완전히 거치하기 전에 가결선을 해보고 경비실과 제대로 통신이 가능한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아나로그식은 경비실과 2선무극성이기때문에 연결후 별도의 설정이 필요없습니다. 하지만 디지털식은 세대비디오폰모기와 통신후 경비실 경비폰에서 해당세대의 비디오폰을 설정해주어야만 향후 경비실에서 정상적으로 세대로의 호출이 가능합니다.  이번설치는 공동현관 로비폰이 없는 경비실에만 디지털식 경비폰 코콤AM-10KP가 설치되어있고 이기기와 호환되는 모델인 코콤의 KIV-121을 설치한 경우이고,121은 흑백디지털비디오폰이고 이모델과 통신되는 또하나의 칼라 비디오폰은 코콤의 KCV-B374(핸드프리비디오폰)이렇게 두모델밖에는 없습니다. 



선구분이 정확히 결정되었다면 비디오폰모기를 설치하기 위해 모기브라켓을 먼저 고정합니다.



그다음 비디오폰모기를 장착합니다. 장착후 사진의 오렌지사각안의 경비버튼을 눌러서 경비실인터폰으로 호출이 가는지를 확인합니다. 



세대안의 모기와 연결하는 카메라자기복스입니다. 4선을 구분한후 극성에 맞게 연결하면됩니다. 



기존에 설치되었던 비디오폰과의 크기차이로 인해 새제품을 장착할수가 없을수도 있기때문에 마감용카바를 이용해 설치를 할수도 있습니다 해당 비디오폰은 디지털식비디오폰으로 경비실인터폰이 코콤의 AM10KP모델이고 이기기와 호환되는 두제품(코콤의 KIV-121,KCV-B374)중 흑백핸드프리모델인 KIV-121설치기이었습니다.



이제 비디오폰상에서 귀댁의 디지털도어락을 열어줄수가 있습니다. 기존의 전기개폐기가 아니라 무선으로 비디오폰에서 방문자확인후 비디오폰상의 문열림버튼을 이용하여 현관까지 가지않고도 현관의 디지털도어락을 열어줄수가 있습니다. 실내에서 현관이 멀거나 거리가 있거나 하는등의 경우 또는 편리하게 사용하시고자 할경우 비디오폰과 디지털도어락을 무선연동시키면 사용하실수가 있습니다. 참고로 그러기 위해서는 위의 구성품3가지가 필요합니다. 비디오폰과(비디오폰에 문열림단자가 있어야합니다. 요즘출시되는 대부분의 비디오폰은 문열림단자가 있으나 구형비디오폰의 경우에는 없을수도 있습니다) 디지털도어락(현재 비디오폰과 무선연동되는 신뢰성있는 제품군으로는 아이레보사의 게이트맨제품과 삼성제품이 있습니다,타사제품은 아예기능이 없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무선연동기셋트가 필요합니다. 이무선연동기를 하나는 비디오폰에 설치하고 하나는 도어락에 설치하여 3개제품이 연동하여 무선기능을 하게 됩니다. 이제 방문자 확인후 현관에 나가지않고도 비디오폰상에서 도어락을 열어줄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