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결선및이론

단선의결선,단선의쪼인,단선조인,HIV전선결선,단선결선방법,단선조인방법,단선쪼인방법,전선쪼인방법,전선결선방법,부평동전기누전,부개동전기누전

완두콩조아 2013. 9. 28. 18:45


HIV단선의 쪼인방법입니다. 보통2가닥정도의 쪼인이라면 손과 펜치를 이용해 쪼인할수가 있지만 가닥수가 많아진다거나 4SQ이상의 단선을 꼬을때는 손으로 하기에는 모양도 예쁘게 안나오고 힘도 많이 들게됩니다. 모양이 이쁘게안나온다는것은 단순히 미관상의 문제가 아니라 결선이 타이트하게 되지않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전기에서의 쪼인은 상당히 중요하며 어떻게 더욱 정확하게 야무지게 결선되는가는 아주 중요합니다.


위의 경우는 각기 다른 굵기의 단선간의 쪼인을 하기위함입니다. 그나마 같은 굵기의 전선은 꼬을때 비교적(가닥수가 적은경우) 쉽게 꼬을수가 있지만 서로 다른 굵기의 전선을 꼬을때는 더 가는전선쪽으로 꼬아지기 때문에 모양새가 이상하게 나옵니다.  



보시는바와 같이 HIV단선 2.5SQ 6가닥을 꼬은경우입니다. 비교적 잘꼬아졌다고 볼수있습니다. 피복이 벗겨진부분도 꼬아져야하는것은 당연하고 피복이 남아있는부분도 반드시 꼬아져야 합니다. 그런데 저것은 손으로 꼬은것이 아닙니다. 2.5SQ 6가닥을 손과 펜치만의 힘으로 꼬기에는 상당히 힘이들며 모양또한 제대로 나오기도 힘듭니다. 아래에 설명하는 전선꼬으는 부품을 이용해서 꼬은경우입니다.  



단선을 꼬은다음,절연테이프로 마무리하는경우도 있지만 FM대로라면 와이어커넥터를 이용해서 한번 더꼬아줍니다. 역시 와이어커넥터도 손으로 꼬은것이 아니고 전선꼬으는 부품을 이용해서 꼬아주었습니다.  



자!!  여기서 절연테이프로 마무리까지 해준다면 번거롭기는 하지만 금상첨화입니다. 전기는 안전입니다.  



위의 사진은 4.0SQ전선 4가닥을 꼬아준경우입니다. 비교적 잘꼬아졌다고  볼수 있습니다. 사실 4SQ단선 4가닥을 손과 펜치만으로 꼬기에는 너무 힘이들며 대단한 악력의 소유자가 아닌이상 제대로 꼬기조차 힘듭니다. 위사진은 전선꼬는 부품을 이용해서 꼬은경우입니다. 



위의 사진은 각기다른 단선간의 결선입니다. 역시 손과 펜치만으로 각기다른 전선을 보기좋게 꼬으기란 아주 숙달되고,손아귀의 힘이 좋은사람이 아닌이상 어려운데요,하여 전선꼬는 부품을 이용해서 비교적 보기좋게 꼬아 보았습니다. 



자!! 이것이 전선꼬는 기구인데요, 대전의 어느분께서 특허까지 내면서 개발한 제품입니다. 그런데 가격이 7만원 정말 후덜덜합니다. 사용방법은 저제품을 충전드릴에 물린후 구멍안으로 전선을 넣고 충전드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꼬아주는 원리입니다. 



이렇게 부품의 샹크부분을 충전드릴의 척에물려 사용합니다. 부품의 샹크의 직경은 8mm이므로 왠만한 충전드릴에 물릴수가 있습니다. 저 보쉬 충전드릴은 10mm까지 물릴수가 있습니다. 



바로 이렇게 전선이 꼬아지게 됩니다. 적당한 토크를 이용하여 전선을 꼬아줍니다. 여러가닥의 전선을 꼬을때는 아주 유용할거 같습니다. 참고로 6SQ부터는 단선이 없기때문에 6SQ 연선까지 꼬아질수가 있습니다. 



전선을 꼬은다음 와이어커넥터를 물린다음 한번더 꼬아주고 마무리하면 됩니다. 많은 가닥수의 전선을 안전하게 꼬을려면 하나 있어도 좋은 제품인것 같습니다. 



위작업또한 전선꼬는 기구를 이용하여 꼬았습니다. 저전선은 HFIX 4SQ 3가닥인데 사실 4SQ 3가닥을 뻰치로 잘꼰다면 그사람은 분명 실력자일겁니다. 그러나 저는 기구를 이용하여 꼬았습니다. 중요한것은 접촉불량 안생기려면 피복까지 확실하게 꼬아져야합니다. 



그다음 와이어콘넥터로 또한번 꼬아줍니다. 사실 여러종류의 와이어콘넥터가 있습니다. 물론 국산도 포함이구요, 일전에 오래된 집의 센서등을 풀어보니 그복스에서 쪼인된 와이어콘넥터가 거의 풀릴정도 였습니다. 한마디로 와이어콘넥터만 돌려놓은 상태였구요,품질또한 좋지않다 보니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풀린경우입니다. 하지만 3M와이어콘넥터를 안쪽에 스프링구조로 되어있어 절대로 풀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절연테이프를 이용하여 더감아 주면 아주좋습니다. 절연테이프는 시계방향으로 감아야하며(전선,와이어콘넥터꼬인방향과일치)왕복3회정도로 감아주면 좋습니다. 물론 감을때는 당겨가며 감아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