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결선방법은 제가 사용하는 전선의 결선방법인데, 이방법이 확실하다고는 말씀드릴수는 없지만 실무에서 이렇게 쓰시는분들도 많고해서 정리를 한번 해보았습니다. 절대적인것은 아니므로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전기란 결국 길이 있어야 흐릅니다. 그길을 내는것은 전선이며 어떻게 확실히 전선이 분리되는곳에서 정확히 결선되는가는 아주 중요합니다. 전선의 결선이 제대로되지 않으면 접촉저항이 발생해 열이 방생하고 더나아가 화재에까지 노출될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확실한 결선은 강조해도 지나치다고 말할수가 없겠네요.
1번결선: 단선한가닥과 연선한가닥의 결선방법입니다. 연선을 단선에 야무지게 칭칭감은다음 단선의 남은부분을 접어서 연선을 덮어줍니다.여기서 단선을 구부려 연선에 덮을때 저같은 경우는 일반펜치를 사용하지않고 안쪽에 골이없는 평마루펜치를 사용합니다. 이유는 펜치로 연선부분을 물을때 혹시라도 연선소선에 흠집이 가는것을 막기위함입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절연테이프로 마감합니다.
2번결선: 연선한가닥과 연선한가닥의 결선방법입니다. 연선상호간에 십자모양으로 걸어준다음 꼬아줍니다. 이렇게 하지않고 그냥 연선두가닥을 꼬으면 양쪽에서 잡아당길때 빠질수가 있기때문입니다. 하지만 저렇게 십자모양으로 걸어준다음 꼬아준다면 빠지지가 않겠죠.. 역시 마무리는 절연테이프로 감아줍니다.
3번결선: 단선과 단선의 결선방법 이방법은 사실 별어려움은 없습니다. 그냥 두선을 포갠다음 펜치로 밑부분을 향하여 내려가면서 계속 꼬아주면됩니다. 이렇게 꼬아준다음 와이어커넥서로 돌려서 마무리 할수도 있겠고,그냥 절연테이프로 감아서 마무리할수가 있겠습니다. 여기서 중요한점이 있는데, 같은 굵기의 단선을 꼰다면 별무리가 없지만 각기 다른굵기의 전선을 꼬을때는 한쪽전선으로 치우치기가 쉽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더굵은 전선쪽으로 힘을 가하여 꼬아야 그나마 제대로 꼬을수가 있습니다.
4번결선: 연선두가닥과 단선1가닥을 꼬을때입니다. 만약 여기서 연선의 가닥수가 더많다면 바인딩을 하는것이 좀더 좋은방법입니다. 하지만 연선이 2가닥정도라면 단선에 연선1개를 먼저 감은후 나머지 연선1개를(좀더길게피복을 벗긴후) 마져감은후 단선을 접어서밀착시킨후절연테이프로 마무리합니다.
5번결선: 단선2개와 연선1개의 결선인데, 먼저 단선끼리 꼬아준상태에서 연선을(피복을 길게벗깁니다) 감은후 단선을 반으로접어 연선에 밀착후 절연테이프로 마무리합니다.
'전선결선및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굵기,단선굵기,HIV전선굵기,전선의단면적,공칭단면적,SQmm²,신전선굵기,구전선굵기,SQ를 굵기로나타내면,HIV전선굵기 (0) | 2013.10.29 |
---|---|
단선의결선,단선의쪼인,단선조인,HIV전선결선,단선결선방법,단선조인방법,단선쪼인방법,전선쪼인방법,전선결선방법,부평동전기누전,부개동전기누전 (0) | 2013.09.28 |
연선과단선결선,연선과단선쪼인,연선여러가닥의결선,연선여러가닥의쪼인,연선과단선바인드,연선쪼인방법 (0) | 2013.09.05 |
압착단자,압착기,압착단자찝기,압착공구,압착공구찍기,압착단자찍기,전선압착단자사용해서찍기,전선압착단자,압착단자에전선찍기,압착공구로전선찍기 (0) | 2013.08.23 |
단선의 결선(콘센트및,천정쪼인트박스안에서의 결선방법) (0) | 201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