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사진은 가정집의 분전반의 구성및 배열상태를 나열한것입니다. 총7가지의 경우중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2번이 가장 좋은구성이라고 말씀드릴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순서대로 문제점등을 살펴보겠습니다.
1번 : 옛날집의 경우가 대부분이렇습니다. 아마도 거의 대다수가 현재 이러한 배열로 되어있습니다. 1번과 같은 경우는 분기3회로 차단기중에서 누전등이 발생시 분기3회로차단들은 누전검출기능이 없기때문에 분기3회로 차단기는 떨어지지않습니다. 하지만 메인누전차단기가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집안의 전체전기가 나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분기3회로중 1번이 전등라인이고,2번이 전열라인,3번이 에어컨전용이라고 가정했을때 만약 3번 에어컨전용 라인에서 누전이발생시 그 누전을 감지하는 차단기는 분기3회로 차단기가 아니라 메인누전차단기이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메인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 에어컨하나 때문에 집안의 전체전기가안들어오고,냉장고도 안되고,보일러도 안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됩니다. 참 불편하고불합리한 배열인게 확인됩니다. 그럼 왜 이렇게 배열을 했을까요??? 그것은 누전차단기가 배선용차단기보다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원가절감차원에서 이전에 그렇게 시공을 한것입니다.
2번 : 요즘짓는 대다수 건축물의 분전반배열은 이렇게 구성을 합니다. 1번과 반대의 경우인데,분기3회로를 누전차단기를 사용했고,메인을 배선용차단기로 사용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분기3회로중 3번에어컨전용라인 차단기에서 누전등이 발생시 3번차단기만 떨어지기 때문에 나머지 전등라인과 일반전열라인은 그대로 있기때문에 전기사용에 덜불편함을 느끼게되고 아울러 나머지 문제되는 부분을 찾기도 수월하게 됩니다. 2번배열방식으로 분전반을 구성하는게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말씀드를수 있습니다.
3번 : 3번은 메인도누전차단기를 설치 분기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한 경우인데요,보통 차단기를 보면 감도전류라는게 있습니다. 대게 가정집에서사용하는 단상차단기는 30mA입니다. 즉 30mA가 누설전류로 흐르면 차단기는 작동한다는 뜻인데요,이것은 30A짜리나 20A짜리나 모두 동일한 감도전류를 가지고 있습니다.그리고 동작시간도 0.03초로 모두 동일합니다.하여 분기에서 누전등이 발생시 분기누전차단기만 떨어지게 하려는 의도이지만 실제그렇지 않고 메인이 떨어질기도 한다는 말씀입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1번경우와 동일한 현상이 발생한다는 뜻이겠죠,그리고 3번사진을 자세히 보면 30A누전차단기가 메인이고 20A누전차단기는 분기차단기인데요, 만약 집안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할때 분기에서는 해당분기에 걸린 선로의 누설전류만흐를것인데 반해 메인누전차단기에는 전체 누설전류가 검출되기때문에 메인누전차단기가 떨어질 확률이 많다는 뜻이됩니다. 2중안전의 경우보다는 1번과 같은 현상이 발생해 불편함을 초래하겠죠..
4번 : 4번은 옛날집의 분전반을 보면 이렇게 구성되어있는집들이 아직도 많이 있습니다. 그것은 메인도 30A이고 분기도 30A라는 것입니다. 보통 분전반을 구성할때 계량기에서 메인차단기로 넘어오는 간선을 옛날전선이라면 5.5mm 신전선이라면 6SQ정도를 사용했습니다. 이정도 전선에 맞는 차단기가 30-40A라는 것이죠,그런데 보통 집안으로 입선되는 분기라인 전선들은 구전선2.0mm 신전선2.5SQ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이런전선에 30A를 달아놓으면 만약 전기를 많이 사용할때 전선에 과전류가 흐르는데도 분기차단기의 용량이 30A이기 때문에 차단기는 차단하지않고 계속 전류를 흘려보내게 됩니다. 이로인해 전선에 열이 발생하고 최악의 경우 전선이 타서 화재로 이어질수도 있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보통 가정집 신축시 메인은 30A 분기는20A로 해야되며 이것을 어길경우 준공승인이 되질않습니다. 무턱대고 용량많은 차단기를 사용하는것이 아니라 전선굵기를 감안해서 차단기를 선정해야된다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보통 메인이 30A라면 분기는 20A를 여러개사용해 분산시켜주는게 바람직한것입니다. 최소한 30A를 사용하려면 4SQ정도는 되어야합니다.
5번 : 5번은 이중안전보다는 3번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수가 있으며,또한 4번처럼 해당분기의 전선굵기가 차단기용량보다 못미칠경우 만약 전기를 많이사용할경우 화재위험이 있을수가 있습니다.
6번 : 6번은 가정집단상분전반의 경우에 분기회로를 추가하고자 할때 공간상의 문제로인해 메인차단기를 작은타입으로 사용한느경우인데요,그림상에는 저렇게 올려놓았지만 메인은 큰사이즈 누전차단기를 사용해야합니다.사용목적에맞게끔 제작되었기때문에 메인은 큰사이즈 누전차단기를 사용해야됩니다.
7번 : 7번은 메인을 20A로하고 분기중 일부를 30A로 한경우인데요, 일단 메인의 간선이 아무리 굵다하더라도 메인차단기의 용량이 20A이기때문에 전선굵기와 상관없이 20A에서 차단이 될것입니다만,그러나 기술기준에 맞지않는 차단기용량선정및 배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