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도중 점심때가 한참지나 밥은 먹어야겠고 외딴곳에 와서 나가서 음식점찾기도 힘들거 같아 붙어있는 스티커로 중국집에 볶음밥을 시켰는데 시킨지 1시간이 걸려서 도착한 볶음밥은 도저히 먹기힘든 음식이었습니다. 아직도 식사한끼를 먹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제가 못먹은 아니 안먹은 이유는 왠지 이밥을 먹으면 몸에 안좋을거 같다는 느낌때문이었습니다. 대충해온 음식같은 볶음밥, 아닌 기름밥.. 아! 진짜 일하는도중 밥먹는게 제일 고역입니다. 집밥같은 음식은 바라지도 않지만 그래도 보기에 깨끗한 음식을 먹고 싶습니다. 대부분 일하는도중 중국집에서시켜 먹을때 3분의 1은 다 안먹는경우를 봐왔는데,현상태로는 배달음식이라는 장점외에 메리트가 없는 음식입니다. 물론 다그런것은 절대아니고 어느정도는 그러했습니다. 배달음식의 한계인것은 알지만.. 예전에는 혼밥도 거리낌없이 잘 먹었는데 이제는 음식점 혼자 들어가 먹는게 예전처럼 자유롭지않은게 점점 나이들어가면서 남을 의식하는거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맛있는 음식은 식사를 할때 잡생각이 안드는 음식입니다. 한마디로 맛이 있다는 거죠! 반면 온갖 잡생각이 든다는것은 음식맛에 집중하지 않다는것으로 이상태면 그냥 쑤셔 넣는 성격이되겠죠! 소박한 정성이 들어간 음식을 그래도 하루에 한끼정도는 먹었으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서울 마포구 마포동의 쌍용황금아파트에 다녀왔습니다. 이곳의 명칭은 자꾸 헷갈린게 쌍용황금아파트인지? 황금쌍용아파트인지? 정확한 명칭은 쌍용황금아파트인거 같습니다. 이곳에서 새롭게 신기술호 적용된 인터폰인 한창 신형 HS-700 비디오폰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1층에 로비폰이 보이는데요, 한창 로비폰은 제가 경험하기로는 2가지를 봤습니다. 구형은 전면이 메탈로 되어보이는 흑백로비폰이고요 이곳은 비교적 신형 로비폰이 달려있습니다. 로비폰은 칼라입니다. 대부분의 아파트 1층 로비폰의 화질이 어느정도 일거라고 생각하시는지요? 교체후 혹시 스마트폰 해상도정도를 기대하고 계십니까? 어림도 택도 없는 기대이고요 제가 체험해본바로는 굳이 해상도로 구분해본다면 30만화소도 안되는 그냥 인식정도의 수준입니다. 대부분이 그러합니다
구형 한창시스템 HS-501인데요 이제품이 매립형으로 나온경우도 있고 거치형으로 나온경우도 있는데요, 이곳 마포쌍용황금아파트는 매립형의 제품입니다. 인테리어후에 HS-700을 설치하신다면 마감판이 필요할수 있습니다 현재 이제품과 호환되는 동사의 제품은 HS-700입니다. HS-270 HS-710이 있었지만 단종이라는 말을 들었고 이제는 이제품으로 출시됩니다
되도록 이런 작업은 하기싫은데 이번세대의 경우 기존 인터폰자리에서 옆으로 90틀어 새로운 위치에 설치하기로 하였는데요, 이렇게 되면 전체선을 이중작업을 해야합니다. 기존선이 짧아 재사용은 못하고 두번결선을 해야하는데 이게 시간이 오래걸리고 아주 신경쓰이는 작업입니다 도디록이면 원래 있던 자리에 인터폰을 설치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새롭게 설치된 제품은 사진에 보시는거처럼 한창시스템에서 출시하는 HS-700이라는 신형비디오폰입니다. 기존제품에 비해 외관사이즈가 아주 큰편입니다 HS-270제품보다 좀더 큰편입니다
프로토콜이 같기에 기존한창시스템제품과 호환이 가능하고요 일단 같으 회사제품이기에 문제가 없습니다. 이곳 마포동 쌍용황금아파트에 기존 HS-501을 대체하는 제품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위사진처럼 기존자리에서 90틀어 장식장 측면에 설치를 하였습니다
이회사제품이 타사처럼 인치별로 다양하고 제품을 출시하고 있지 않아서 선택의 폭은 좁은 편입니다. 현재로선 마지작에디션인 HS-700이 유일한 대안입니다. 화면사이즈는 7인치로 가격은 좀 나가는 편이죠
최종테스트를 해보았는데 지하주차장,1층현관,세대현관 경비실 모두 통화가 가능하였습니다
기존제품 HS-501의 세트카메라 구형흑백입니다
카메라는 이것으로 교체가 되었고요 디자인은 깜찍하게 나온카메라입니다. 칼라카메라이고요 복도식이라서 그리고 센서등이 안켜져서 좀 어두운 편이었습니다. 현관이 밝으면 사진들이 좀더 선명할텐데요
이어진 작업은 위사진의 제품들을 다 떼어내고 하나의 도어락으로 교체를 하려고 하는데요...
푸시풀도어락의 끝판왕 SHP-DP920입니다. 4WAY방식의 도어락으로 지문,비상키,번호,카드및블루투스 로 출입이 가능합니다. 비상키가 있는 모델이라 비상카를 차에다 두면 나중에 방전시등에 문을 열고 들어갈수가 있습니다.
920의 지문접촉부입니다. 무슨 로보트처럼 생겼네요 현재로선 푸시풀 삼성중에서는 제일 고급형의 제품이고요 지문제품이 하나 더있기는 한데 그제품은 푸시풀은 아니고 핸들레버형의 제품이지요
안쪽 인바디의 모습이고요 인바디는 720,820,920 공통입니다
이제는 푸시풀이 많이 설치되어 있는거 같은데요, 도어락시장에서 한획을 긋는 제품이 아니었나 개인적으로 생각해봅니다. 국내 두 메이저 회사에서 푸시풀을 두고 계속 뜨거운 경쟁중이지만 선점효과를 무시못하는지라 이메이커가 약간 인지도가 더 있는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