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누전·분전반

전기누전,구월동전기누전,주안동전기누전,석남동전기누전,가좌동전기누전,도화동전기누전,갈산동전기누전,십정동전기누전,간석동전기누전,부평동누전

완두콩조아 2014. 2. 17. 10:53


분기1번 전등라인차단기가 떨어졌습니다. 전열라인은 이상이 없고 전등라인이 문제였는데, 이경우 집안의 모든 전등관련 스위치를 다 OFF하고도 차단기가 내려간다면 전등기구,스위치선등은 문제가 없는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든스위치를 off했기때문에 스위치의 전단에서 차단이 되기때문입니다. 하여 스위치를 모든 끈후 절연저항을 측정했을때 거의 0에 가까운 절연저항값이 나오게 되면 스위치공통이나,등공통선의 문제라고 보면됩니다. 그리고 이세대는 이전에 110라인이 같이 들어온세대여서 메인차단기 1차측에 중성선이 없습니다. 즉 두선모두 전압선으로 검전드라이버를 갖다대면 두군데 모두 불이 들어옵니다. 기렇다고 해서 이집이 3종접지가 되어있는집도 아니었습니다. 보통 변압기 2차저압측에서 2종접지를 하지만 그것은 중성선에 하는것이고,이집은 중성선이 없기때문에 3종접지도 없었고, 하여 메거링할때 현관출입문의 문틀쪽 현관정 스트라이크쪽의 피스를풀고 그곳에 전선을 연결해 접지대용으로 사용했습니다. 혹시나해서 접지정도를 측정해보니 0메가옴이 측정된것으로보아 아주좋은 접지대용이었다고 확인할수가 있었습니다. 



하여 이집의 경우는 메인천정을 따내고 복스를 찾아 쪼인된 전선을 풀러 그곳에서 어떤선이 누전인가를 확인해야만 했습니다. 보통 천정에서 전등을 떼어내면 백원짜리동전크기만한 구멍이 있습니다. 이구멍으로 사람이 그안을 들여다 보기는 힘들고 사진상의 내시경을 이용하여 정확한 복스의 위치를 찾습니다. 전등바로위에 복스가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고 이집의 경우에도 전등바로위에서 옆으로 어느정도 이동된 지점에 복스가 있었습니다. 무턱대고 따냈다가는 다른곳을 또 따내야되는 경우가 생기게됩니다. 



따낸후 메인복스의 모습입니다. 전선을 풀어 해친사진은 못직었네요, 이사진은 전선을 풀어헤치기 전의 사진인데,결과적으로 화살표가 지시하는 저황색선이 누전의 원인이었습니다. 저 전선 작은방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작은방인데,거실에서온 누전의 원인인 황색선이 보입니다. 저전선을 처리하고 누전수리를 완료했습니다. 최종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해보니 80메가옴의 양호한값이 측정되었습니다.